본문 바로가기

노동조합2

준법투쟁의 쟁의행위 정당성 준법투쟁의 쟁의행위 해당성 ​ ​ Ⅲ. 준법투쟁의 쟁행 해당성 판단기준 1. 문.. 전술한 判例의 개념정의에 따르면, 준법투쟁의 쟁행 해당여부는 노조법 제2조 제6호의 업무의 정상적 운영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결론을 달리하게 된다. 2. 학설 ①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은 사실상의 평상시 운영을 의미하므로, 평상시의 사업운영을 저해하는 준법투쟁은 쟁행에 해당한다고 보는 , ②정상이란 법률상의 정상을 말한다고 전제하면서, 준법투쟁으로 방해받은 사용자의 업무운영이 적법한 것인지 여부에 따라 쟁행 여부가 결정된다고 보는 등의 견해가 대립한다. 3. 判例 대법원은 기본적으로 의 입장이라고 평가되는데, 헌법재판소는 근로자의 권리행사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쟁행에 관하여도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여 바로 형사 처.. 2021. 1. 30.
행정관청의 노조설립심사 행정관청의 노조 설립심사 Ⅱ. 노조의 설립신고제도 1. 法규정 ①은 노조를 설립하고자 하는 자는 행정관청에 규약과 설립신고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하고, ②은 설립신고서를 접수한 행정관청은 보완이 필요한 경우 또는 반려하여야 할 경우 외에는 3일내에 신고증을 교부해야 하고, 신고증을 교부받은 경우 설립신고서가 접수된 때에 설립된 것으로 본다고 규정되어 있다. 한편 ③은 일정한 경우 행정관청은 보완을 요구하여야 하고, 기간내 보완하지 않거나, 동법 제2조 제4호 각목의 결격사유가 있는 경우 설립신고서를 반려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. 2. 설립신고제도가 ← 허가제인지 여부 최근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행정관청의 설립신고서 수리 여부에 대한 결정은 의무사항으로 그 요건 충족이 확인되면 설립신고서를 수리하고 신고.. 2020. 12. 3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