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
이유없이 해고해도 불법이 아닌 회사란 무엇일까?
Intro
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회사여야 한다.
근로기준법이 적용되지 않는 회사에 다닐 경우.
소속 회사에서 마음대로 해고를 해도.. 불법이 안 될 수도 있다.
01
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(사업장의 분류체계)
근로기준법의 적용 유무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.
1. 적용 대상 사업(장)
2. 적용 제외 사업(장)
3. 일부 적용 사업(장)
02
근로기준법 적용 대상 사업(장)
근로기준법 적용 대상 사업장
- 상시 5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(장)
03
근로기준법 적용 제외 사업(장)
근로기준법 적용 제외 사업(장)
- 동거 친족'만'을 사용하는 사업(장)
- 가사사용인
04
근로기준법 일부 적용 사업(장)
근로기준법 일부 적용 사업(장)
- 적용규정
해고금지 / 해고예고 / 휴게 / 유급주휴일
-적용 '제외' 규정
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제한 /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제한 / 연장 근로제한 / 연차유급휴가
05
마음대로 해고해도 '불법이 아닐' 수도..
'근로기준법 일부 적용 사업(장)'에 다닐 경우
ㅇ실질적 요건 :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를 해도(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 적용 X)
ㅇ절차적 요건 : 해고 예고 절차를 이행했다면(근로기준법 제26조 적용 O)
→실질적 요건 규정은 적용 않되고, 절차적 요건만 적용 되므로..
⇒ 불법이 아니라.. '합법인 해고'가 될 수 도 있다.
'노동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징계 절차의 정당성 (0) | 2020.12.24 |
---|---|
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 (0) | 2020.12.23 |
평균임금의 산입범위('임금' 해당 여부) (0) | 2020.12.20 |
연차유급휴가 산정기준(파업기간/직장폐쇄/노조전임자) (0) | 2020.12.19 |
플랫폼(platform) 노동자의 근로자성 (0) | 2020.12.14 |
댓글